이번시간에는 간단하게 우리가 구축했던 EC2 우분투 인스턴스를 로컬환경에서 접근하여
우분투<-> 로컬 간 파일 전송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파일질라(FileZilla)라는 것을 사용하는데, 이 툴을 이용하여 서버에 있는 파일들을 로컬에 이동시키거나
반대로 로컬에 있는 파일을 서버로 쉽게 옮길 수 있습니다.
로컬-서버 간 파일 전송을 위한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는데 저는 주로 삼바를 이용했습니다.
리눅스/라즈비안에 삼바서버를 설치하여 로컬<->해당OS간 파일전송을 할 수 있었습니다.
오늘 다뤄볼 파일 질라는 매우 직관적이고 windows환경에 친숙한 GUI툴이기 때문에 사용이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.
우선 파일질라 설치를 위해 아래 링크로 접속합니다.
https://filezilla-project.org/
그 다음 아래 화면에서 "Download FileZilla Client"를 클릭합니다.
이제 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.
설치완료 후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화면이 뜹니다. 빨간 색 박스 부분을 클릭하여 우리가 접근할 서버를 세팅할 수 있습니다.
왼쪽 화면은 본인의 로컬 디렉토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.
새로 뜬 화면에서 우선 아래 My Sites디렉토리에 New site버튼을 클릭한 뒤 간단하게 이름을 지정해줍니다.
저는 "과제용" 이라고 이름 지어주었고 모든 설정을 완료하면 아래와 같이 파일질라 이름이 표현됩니다.
사이트를 추가해 준 뒤 오른쪽 화면에서 몇가지 설정을 해주어야합니다.
1. Protocol-> SFTP로 설정(ssh로 보면됨, EC2에 접근할 때 ssh를 사용하기 때문)
2. Host:->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 DNS주소를 입력, Port: 22 입력
2번의 정보는 원래 IP를 입력해도되지만 학교-집에서 EC2를 쓰다보면 Ip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아서 불편한데,
대신 IPv4 DNS주소는 변동이 없기 때문에 이 정보를 주로 사용합니다.
3. Logon Type: Keyfile로 설정(우리가 Ec2에 접근할 때 .pem 키파일로 접근한 것과 동일)
4. User: 유저이름으로 설정( 본인은 Ubuntu로 되어있음)
5. Key File: 해당 인스턴스의 .pem키파일 등록
이렇게 설정해준 뒤 Connect버튼을 누르면 정상 연결이 될 것입니다.
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면 아래처럼 왼쪽에는 로컬디렉토리가, 오른쪽엔 우분투의 디렉토리가 뜨게됩니다.
파일 전송은 매우 간단한데, 로컬->서버로의 파일 전송은 upload이고 서버->로컬로의 파일전송은 Download입니다.
간단하게 우분투 서버에 있는 file2라는 파일을 로컬로 이동시켜보겠습니다.
파일의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Download를 클릭하면 아래 창 처럼 로컬admin디렉토리에 file2가 저장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반대로 로컬의 파일을 서버로 upload해보겠습니다. 클라우드.txt파일을 전송 시, 아래처럼 서버에 잘 저장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이것으로 파일질라를 이용해 간단하게 로컬과 서버 간에 파일 전송을 해보는 작업을 해보았습니다.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Cloudwatch 설치 및 동작 (0) | 2022.03.08 |
---|---|
AWS EC2인스턴스를 로컬 CMD창에서 ssh로 접근하기 (0) | 2021.06.05 |
AWS RDS DB 테이블 생성 및 Php와 연동하기 (0) | 2021.06.02 |
AWS RDS를 이용하여 DB 서비스 구축 (0) | 2021.06.01 |
AWS 웹서버 구축을 위한 php설치 및 apache-php연동 (0) | 2021.06.01 |